보조금 과다지급과 관련한 방송통신위원회의 징계에 따라 7일부터 SK텔레콤, KT, LG 등 이동통신 3사가 순차적으로 영업정지에 들어간다. 영업정지에 따라 고객 유치에 일부 타격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오히려 실적은 좋아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6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7일부터 30일까지 24일간, SK텔레콤은 31일부터 다음달 21일까지 22일간, KT는 다음달 22일부터 3월13일까지 20일간 휴대전화 신규 가입자를 유치할 수 없다. 영업정지 기간 동안 사업자는 휴대전화 신규 및 번호이동 가입자를 받을 수 없고, 자사 가입자의 기기변경과 인터넷, IPTV 등 유선상품 판매는 정상적으로 이뤄진다.

 

이에 따라 과열됐던 번호이동 시장의 냉각은 불가피하게 됐다. 일부 온라인 매장은 방통위의 대대적인 조사에 대비, 5일 저녁 모든 특가 정책을 마감한다는 공지를 내걸기도 했다.

 

다만 1분기가 휴대전화 비수기인 만큼 이통사가 실질적으로 받는 타격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마케팅비가 이통사 비용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큰 만큼 경쟁 자제로 오히려 1분기 실적이 향상될 가능성도 크다.

 

그러나 방통위의 시장 과열 방지 의지에도 이통사들이 이 기간 동안 보조금 싸움을 지속할 가능성도 있다.

 

이통사가 순차적으로 영업정지 제재를 받기에 다른 이통사가 제재를 받는 동안 나머지 두 이통사 간 가입자 유치 경쟁을 벌이게 되면 경쟁은 더 치열해질 수 있다. 이통 3사가 영업정지 기간이 끝난 후 보조금을 한꺼번에 풀며 대대적인 싸움을 벌일 여지도 있다. 과거 영업정지 제재를 받았을 때 이통 3사는 서류 접수를 미루고 일단 임시 개통을 해 준 후 영업정지 기간 만료 후 서류를 접수하는 편법영업을 한 전례도 있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이통사들이 보조금 경쟁으로 인해 제재를 받은 만큼 1분기 경쟁을 자제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다른 이통사가 영업정지를 가입자 유치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할 경우 대응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이 국내 이동통신사 중 처음으로 4세대(4G) 롱텀에볼루션(LTE) 가입자 200만명을 확보했다. LG유플러스는 171만명을 넘겼고, 전국망 구축이 늦은 KT도 40만명의 가입자를 확보하는 등 LTE 서비스 확장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SK텔레콤은 16일 기준 자사 LTE 가입자가 208만8000명으로 100만명을 넘긴 지 불과 76일 만에 200만명을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달 SK텔레콤의 LTE 가입자 수는 일 평균 2만9000명으로 하루 평균 1만9000명 선이던 지난달보다 5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SK텔레콤은 올해 1분기 말 기준으로 720만명의 가입자를 거느린 미국의 버라이존과 일본의 NTT도코모(222만명)에 이어 세계에서 3번째로 많은 LTE 고객을 가지고 있다.

 

 

 

SK텔레콤은 최신영화, 드라마,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는 ‘티 프리미엄’ 서비스가 LTE 가입자 증가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고 있다. LTE 이용자가 이달 2일부터 현재까지 보름 동안 티 프리미엄을 통해 내려받은 콘텐츠 수는 40만에 달한다. SK텔레콤은 티 프리미엄 서비스를 위한 서버 용량을 3배로 확대하고 콘텐츠도 보강할 계획이다.

전국망 구축 효과로 비수도권 지역의 신규 가입자도 전달 대비 40% 이상 늘었다고 SK텔레콤은 언급했다. SK텔레콤은 전국 84개 도시에 이어 4월 중 KTX노선과 고속도로의 LTE망 구축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LTE에 사활을 걸고 있는 LG유플러스의 가입자 증가세도 만만치 않다. LG유플러스의 하루 평균 LTE 가입자 수는 지난달 1만6000명에서 이달 2만명으로 늘어났다. LG유플러스는 16일까지 LTE 가입자 수가 171만명으로 집계돼 다음달 초 200만명 돌파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의 서울과 지방 가입자 비율은 53대 47로 지방 가입자 비율이 타사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늦게 LTE 시장에 뛰어든 KT는 아직 LTE 가입자 수를 공개하지 않지만 업계는 40만명 정도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통 3사 LTE 가입자 수를 합치면 400만명이 넘는다.

 

KT는 오는 23일 LTE 전국망 구축 완료를 선언하고, 본격적인 경쟁에 나설 계획이다.

4세대(4G) 롱텀에볼루션(LTE) 이동통신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이동통신 3사 중 가장 먼저 전국망 구축을 완료했고, KT는 SK텔레콤에 이어 LTE 데이터 제공량을 확대하며 본격적인 경쟁에 나섰다.


◆망구축 한발 앞선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29일 LTE 서비스 시작 9개월 만에 전국 84개 도시와 889개 군읍면 지역, 고속도로·지방국도·KTX 전 구간과 20개 국립공원에 망 구축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인구대비 서비스 지역 비율이 99.9%에 이른다”며 “LTE 전국망을 구축한 것은 LG유플러스가 세계 처음”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SK텔레콤과 KT도 전국망 구축 계획을 앞당긴다는 전략이다. SK텔레콤은 현재 서울, 수도권 전역과 대도시 주요 지역에 LTE 망을 깔았으며 4월 중 84개 시와 인구 밀집지역의 망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지난해 7월 LTE 서비스를 시작한 SK텔레콤·LG유플러스와 달리 올 1월 뒤늦게 경쟁에 뛰어든 KT도 4월 말까지 84개 시에 망 구축을 완료한다는 목표다.

3세대(3G) 망이 없어 스마트폰 시장에서 고전했던 LG유플러스는 LTE망 구축에서 경쟁사들을 앞서며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28일 기준 LG유플러스의 LTE 가입자 수는 146만명을 기록했다. SK텔레콤의 가입자수는 173만명, KT는 30만∼40만명 수준이다.

시장 상황을 속단하기는 이르지만 LTE 서비스 도입 전 LG유플러스의 이동통신 가입자 점유율이 18% 정도였던 것을 감안하면 초기 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둔 셈이다. LG유플러스는 여세를 몰아 현재 LTE를 서비스 중인 800㎒대역 주파수에 더해 올해 4분기부터 2.1㎓대역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서비스·가격 경쟁 불붙었다


지난 2월 LG유플러스가 LTE 데이터 제공량을 대폭 늘린 데 이어 SK텔레콤과 KT도 LG유플러스 수준으로 데이터 제공량을 늘리고 콘텐츠 무료 제공, 망 내 무료 통화 등 차별화된 서비스를 내세우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SK텔레콤이 다음달부터 LTE 데이터 제공량을 최대 86% 늘리고 2만원 상당의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하겠다고 밝힌 데 이어 KT도 다음달부터 데이터 기본 제공량을 2배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4월부터 6만2000원짜리 LTE 요금제를 기준으로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가 기본 제공하는 데이터 용량은 각각 5기가바이트(), 6, 6가 된다.

KT는 LTE 데이터 제공 확대와 함께 5만2000원 이상의 요금제를 사용하는 고객에게 KT 가입자 간 무료 음성 통화 혜택도 제공한다. 5만2000원 요금제 사용자의 경우 월 1000분, 가장 비싼 10만원 요금제를 쓰는 고객은 1만분의 망 내 무료 통화가 가능하다. 가입 후 3개월간은 기본 데이터 제공량의 20%를 추가 제공하는 ‘세이프존’ 서비스도 도입한다.

데이터 요금 과다 청구를 막기 위한 서비스도 속속 선보이고 있다. KT는 고객이 원할 경우 약정에 따른 데이터 용량을 초과 사용을 자동 차단하는 ‘데이터 안심차단’ 서비스를 시행 중이다. SK텔레콤은 데이터 초과 요금이 1만8000원을 넘지 않도록 제한하는 ‘LTE 데이터 한도 초과요금 상한제’를 내놨다.

롱텀에볼루션(LTE) 서비스 경쟁이 불붙고 있다.

지난 2월부터 LG유플러스가 4세대(4G) LTE 요금제의 데이터 제공량을 대폭 늘린 데 이어 SK텔레콤도 데이터 제공량을 늘리고 콘텐츠 일부를 무료로 제공하기로 했다.

SK텔레콤은 4월부터 LTE 요금제별로 최대 86%까지 데이터 제공량을 확대하고 6만2000원 요금제 이상 사용 고객에게 연말까지 월 2만원 상당의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한다고 27일 밝혔다.
또 국내 이동통신사 중 처음으로 데이터 초과요금 상한제를 도입해 데이터 추가 요금이 1만8000원을 넘지 않도록 했다.

이에 따라 LTE 52요금제(월 5만2000원)의 데이터 제공량은 1.2기가바이트(GB)에서 2GB로, 62요금제(월 6만2000원)의 데이터 제공량은 3GB에서 5GB로 늘어난다.

LG유플러스 LTE 62요금제의 경우 현재 SK텔레콤보다 1GB가 많은 6GB를 제공하고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늘어난 데이터와 함께 LTE로 즐길 수 있는 2만원 상당의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한다”며 “전체적인 혜택은 업계 최고수준”이라고 설명했다.

LTE 62요금제 이상을 사용하는 SK텔레콤 고객은 연말까지 매월 2만원 상당의 포인트를 받게 되며, 이를 이용해 80여개의 영화·게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요금제별로 제공되는 데이터 용량을 초과해 사용할 경우 초과요금이 최대 1만8000원을 넘지 못하도록 하고 패킷당 요금도 종전에 비해 60% 낮춘 ‘LTE 데이터 한도 초과 요금 상한제’를 전 요금제에 기본 적용한다. 1만8000원 요금으로 3GB까지 데이터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고, 3GB를 초과할 경우에도 속도를 낮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메일과 웹서핑 등은 이용이 가능하다.

경쟁사에 비해 최대 2배의 LTE 데이터를 제공한다며 대대적인 홍보전을 펴왔던 LG유플러스가 어떤 대응책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한편 SK텔레콤은 이날 국내 굴지의 게임사인 넥슨코리아, 네오위즈인터넷, NHN과 전략적 제휴(MOU)를 맺고 콘텐츠와 데이터 이용 요금을 결합한 ‘LTE 제휴상품’을 우선 출시하기로 했다.


LG유플러스가 3일 초고속인터넷인 ‘유플러스 인터넷’의 요금을 24% 인하해 1만원대 상품을 내놨다.
 
LG유플러스는 가입자들에게 관행적으로 지급했던 상품권·현금 제공을 없애는 대신 가격 경쟁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통신업체들이 마케팅을 자제할 경우 요금인하 여력이 충분하다는 것을 인정한 셈이다.

LG유플러스는 작년 7월 인터넷의 요금(3년 약정기준)을 2만8000원에서 11% 인하한 데 이어 이번에 24%를 더 내림으로써 국내 최저가인 1만9000원의 상품을 선보였다.

LG유플러스의 ‘경품 없는 유선 인터넷 상품’이 처음 등장한 것은 아니다. SK브로드밴드 역시 2010년 10월 경품 없이 가입할 경우 월 2만원에 초고속인터넷을 제공하는 ‘스마트 다이렉트’ 상품을 출시했고, KT도 경품 대신 월 요금을 3000원 할인해 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직영점이 아닌 대부분의 인터넷 가입센터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안내조차 하지 않고 있다. LG유플러스 역시 이번에 유선 인터넷 단일상품의 경품을 없앴지만 전화·IPTV 등을 함께 가입하는 결합상품의 경우에는 경품 제공을 계속한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경품 마케팅 가입자들은 약정을 채우면 상품을 받기 위해 통신업체를 옮기는 실정이다. 한 업체에 오래 가입할수록 신규 가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손해를 보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방통위는 마케팅 과열을 막기 위해 초고속인터넷 마케팅비 가이드라인으로 단일상품 16만원, 결합상품의 경우 최대 22만원을 제시하고 있지만, 고객 유치에 나서는 인터넷 가입센터들이 이를 어기는 경우가 많다. 방통위의 단속이 있을 경우 경품 액수가 줄어들기도 하지만 이후 다시 늘어나는 행태가 수년간 반복되고 있다.
 
방통위는 인터넷 업체들이 가입자 유치과정에서 30만원 이상의 과도한 경품을 지급해 시장을 과열시키는 것으로 파악하고 조사를 벌이고 있으며, 조사 결과에 따라 과징금 등 처분 수위를 결정할 방침이다.
이동통신 업체들이 4세대(4G) 롱텀에볼루션(LTE)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망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28일 LG유플러스는 84개 시에 LTE 망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도 내년 1월 1일부터 LTE 서비스 지역을 28개 시로 확대키로 했다. 2세대(2G) 서비스 종료 지연으로 LTE 시장 진입에 차질을 빚었던 KT는 내년 초 LTE 서비스를 시작하는 것과 동시에 본격적인 망구축 작업에 돌입한다. 내년 본격적인 4G 시대를 겨냥해 ‘LTE 망 확대 전쟁’에 뛰어들고 있는 것이다.
 
◆불붙은 ‘LTE 망 구축 전쟁’

LG유플러스는 SK텔레콤과 같이 LTE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커버리지 경쟁에서는 한발 앞선 모습이다. 3세대(3G) 이통망이 없는 LG유플러스는 LTE 사업에 사활을 걸고 있는 만큼 주도권을 빼앗길 수 없다는 태세다. LG유플러스가 커버리지에서 선두를 차지한 것은 1996년 이통시장 진출 후 처음이다.
 
LG유플러스는 이날 6대 광역시, 수도권, 지방 도시 48곳, 제주도와 울릉도, 내년에 시로 출범하는 당진군과 세종시, 주요 고속도로를 포함한 전국 84개 시에서 LTE 서비스를 개시했다. LG유플러스는 내년 3월까지 LTE 서비스 지역을 전국 군·읍·면 단위로 확대할 계획이다.
 
느긋했던 SK텔레콤도 당초 계획을 앞당기며 LTE 망 조기 구축에 나섰다. SK텔레콤은 지난 7월1일 이후 서울과 수도권 일부 지역에 LTE를 제공했으나 내년 1월1일부터는 부산·대구·광주 등 6개 광역시와 수도권 14개 시, 천안·창원·전주·제주 등 지역 7개 도시로 LTE 서비스 지역을 확대한다. 기타 13개 도시의 핵심 지역에서도 LTE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내년 4월까지 전국 84개 시에 망 구축을 완료할 예정이다.
 
뒤늦게 4G 시장에 가세한 KT도 맹추격에 나선다. KT는 내년 1월2일 향후 LTE 서비스 계획을 공개하고 3일부터 서울 지역에서 서비스를 시작한다. KT는 내년 전반기까지 전국망을 구축하기 위해 이미 공사에 착수했다.

◆새해 LTE 1000만 가입자 전망
 
이통사들이 이처럼 LTE 망 구축을 서두르는 이유는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시장이 확장되기 때문이다. SK텔레콤은 연말까지 70만, LG유플러스는 60만명에 가까운 LTE 가입자를 유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TE 서비스 이용자는 아직 전체 이통 가입자의 2% 정도에 불과하지만 휴대전화 단말기가 출시된 지 3개월밖에 안 됐고, 일부 지역에서만 서비스가 이뤄지는 점을 감안하면 만만치 않은 기세다.
 
업계는 내년에 LTE 1000만 가입자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보고 있다. 로아컨설팅은 최근 보고서에서 “2012년 2G·3G 피처폰(일반 휴대전화) 사용자가 대거 스마트폰으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 경우 대부분이 LTE 스마트폰을 선택할 가능성이 있고, 내년 말 LTE 가입자는 1600만명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LG유플러스가 4세대(4G) 롱텀에볼루션(LTE) 서비스에 올인한다. LG유플러스 이상철 부회장은 휴대전화 음성과 데이터 모두를 4G LTE망을 통해 서비스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은 지난 25일 제주도 제주시 라마다 프라자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동전화망, 와이파이망, 초고속망이 하나로 융합되는 세계 최고의 유무선 올 아이피’(All-IP) 기반의 단일 데이터망을 구축해 LTE 신세계를 열겠다”고 밝혔다.
 
다시 말해 LG유플러스의 모든 유무선 서비스를 IP(인터넷 프로토콜) 방식으로 하겠다는 의미다. 특히 4세대 LTE 휴대전화 서비스 가입자는 LTE망을 통해 음성·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현재 SK텔레콤의 LTE 서비스는 데이터만 LTE망을 이용하고 음성 서비스는 3세대 음성 전용망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KT 역시 SK텔레콤과 같은 방식을 도입할 것으로 보인다.
 
LTE망을 통해 음성·데이터 통합서비스를 하게 되면 통화하면서 상대방과 파일을 공유하고,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를 통해 음성통화를 하는 등의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요금도 더 싸질 수 있다. 음성요금과 데이터요금을 따로 산정하는 지금의 방식을 벗어나 음성이냐 데이터냐에 관계없이 사용한 서비스의 패킷 발생량만큼 요금이 발생하는 체계가 도입될 것으로 기대된다.
 
LG유플러스는 또 이 같은 통합서비스로 단말기 수급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음성과 데이터를 담당하는 칩을 따로 탑재하지 않고 데이터 담당 칩만 탑재하면 되기 때문이다.
 
LG유플러스가 이 같은 통합서비스에 나선 것은 경쟁사와 달리 3G망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풀어야 할 숙제도 있다. IP방식의 음성통화는 음성 전용 회선을 쓰는 기존의 방식보다 송수신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LG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송수신 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