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사들이 '고객 확보 전쟁'을 치르면서 8월 한 달간 휴대전화 보조금으로 쏟아부은 마케팅비(광고비 제외)가 7000억원을 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지난해 이통 3사의 월평균 마케팅비 4792억원보다 1.5배 많은 수준이다.


주무부처인 방송통신위원회는 단속하기는커녕 손을 놓고 있어 시장혼란을 부추기고 있다.


세계일보가 10일 이동통신사들의 8월 단말기 판매 장려금 규모와 번호이동 실적을 입수해 분석한 결과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이통 3사가 사용한 무선통신 부문 마케팅 금액은 총 7203억원으로 조사됐다.


이 금액은 ▲지난달 구매자가 40% 정도로 가장 많았던 갤럭시S3의 이통 3사 평균 보조금×번호이동 건수(112만건)로 추산한 4075억원 ▲신규·기변 고객 112만명에게 지급한 보조금(1인당 19만원 기준) 2128억원 ▲대리점에 지급한 고객 유지수수료 1000억원을 합한 것이다.


7000억원이 넘는 보조금이 풀리면서 8월 번호이동은 113만건으로, 2008년 6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004년 번호이동제 시행 이후 역대 4번째의 기록이다.


KT는 갤럭시S3의 상품 판매 대가로 휴대전화 판매점에 주는 '리베이트' 금액을 8월10일 23만원에서 25일에는 68만원으로 올렸다. 보통 리베이트 가운데 판매점은 10만원 정도만 가져가고, 고객에게 58만원이 보조금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는 방송통신위원회가 제한한 기기당 보조금 27만원의 2배를 훌쩍 뛰어넘는 것이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같은 시기 리베이트 금액을 비슷하게 높였다.


본지 분석에서는 갤럭시S3를 마케팅비 선정의 기준으로 잡았지만, 구형 휴대전화에 대해서는 이통사들이 더 많은 보조금을 주기 때문에 지난달 전체 보조금 규모는 8000억∼9000억원이 넘을 수도 있다.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지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이통 3사의 마케팅비는 방통위가 정한 가이드라인인 매출 대비 20%를 웃돌 전망이다.


업체들의 과열경쟁에도 주무부처인 방통위는 미온적인 대응으로 비판받고 있다. 올해 초부터 시장 과열 조짐이 포착됐지만 방통위는 제대로 된 규제에 나서지 않은 채 "시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견지하고 있다.


갤럭시S3 번호이동 보조금만 4075억원


이동통신 3사의 8월 무선통신 마케팅 비용 7203억원은 어떻게 산정됐을까.


시장이 과열되기 전인 지난달 16일 전까지 이통 3사가 주력 제품인 갤럭시 S3에 지급한 평균 보조금은 19만4500원이다. 이때 이동통신사를 옮긴 번호이동 고객은 21만명으로 이들에 지급한 보조금 총액은 408억4500만원이다. 하지만 시장이 과열되면서 지난달 하반기에 지급한 이통 3사의 보조금 평균액은 40만3000원으로 21만원가량 올라갔다. 이 기간 번호이동 고객도 급증해 91만명이 이통사를 갈아탔다. 이통 3사가 이들에게 투입한 보조금은 3667억3200만원으로 급증했다.


평균 보조금은 전반기는 10일과 16일, 하반기는 16일과 25일 기준 이통 3사의 6만원대 요금제 가입자당 '리베이트'(휴대전화 판매점 지급금액)에서 실제 판매점이 수익으로 갖는 10만원을 제외한 값의 평균을 낸 금액이다. 보통 신규·기기변경 고객은 번호이동과 같은 규모로 발생하는데 112만명에게 갤럭시 S3의 8월 상반기 보조금 평균액인 19만원씩만 지급했다고 가정하면 2128억원의 보조금이 추가로 발생한다.


여기에 이통 3사는 고객 유지 수수료로 가입자 휴대전화 요금의 6∼8%를 대리점에 주는데 매달 1000억원 수준이다.


본지는 신규·기기변경 고객의 마케팅비를 일괄적으로 19만원으로 계산했지만 지금은 시장이 과열된 상태로 이통 3사는 대부분의 고객에게 방통위가 정한 기기당 보조금 한도액인 27만원 이상을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휴대전화의 경우 보조금이 100만원에 육박한다는 얘기도 나온다. 대부분 번호이동은 보조금이 많은 시점에 주로 일어났기 때문에 실제 마케팅비는 늘어날 수밖에 없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