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업계의 고질병인 보조금 경쟁이 다시 확산하고 있다.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다 보니 경쟁사에서 가입자를 빼앗아 오기 위한 이통사들의 무리수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이통사들이 가입자 유치를 위해 2010년 쏟아부은 마케팅 비용은 7조4910억원에 달한다. 2014년까지 4세대(4G) 롱텀에볼루션(LTE)망 구축에 쓰기로 한 6조7000억여원보다 많다. 올해 LTE 시장을 잡기 위한 본격 경쟁이 벌어지면 이통 3사의 마케팅 비용이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경품·공짜… 출혈경쟁 지속

‘LTE폰 구매 시 제주도 왕복항공, 호텔 2박 숙박권을 드립니다.’ 최근 경기도 일산 동구의 한 휴대전화 대리점은 이 같은 내용의 플래카드를 내걸었다.
 
지난해 12월 한 홈쇼핑은 스마트폰 ‘넥서스S’로 3만4000원 요금제에 가입하면 단말기·가입비 무료에 27인치 3D TV를 경품으로 준다고 방송했고 또 다른 홈쇼핑은 스마트폰 단말을 무료로 제공하고, 59만원 상당의 TV 또는 백화점 상품권과 디지털 카메라를 경품으로 준다고 광고했다. 마케팅 전쟁이 가열되면서 이통시장에는 요즘 각종 고가의 경품이 쏟아지고 있다.
 
정부가 보조금 한도를 27만원으로 한정했는데 어떻게 이처럼 비싼 경품을 주고 80만∼90만원이나 하는 최신 스마트폰을 ‘공짜폰’으로 시장에 내놓을 수 있는 것일까.
 
판매가 90만원의 휴대전화를 6만2000원짜리 요금제로 약정 구입하면 이통사별 ‘요금할인’을 통해 45만원 정도 할인받을 수 있다. 요금할인이라고는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단말기 값 할인으로 정부가 규제하는 보조금에 포함되지 않는다. 나머지 45만원 중 27만원은 이통사가 주는 공식적인 단말기 보조금으로 할인된다. 남는 18만원은 대리점이나 판매점이 수익원인 수당에서 추가로 깎아줘 이용자는 ‘공짜폰’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통사들은 경품 제공은 대리점 차원의 이벤트 행사로 자신들과는 상관이 없다고 발뺌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27만원 이상 할인 혜택을 보는 것에 대해서도 “일부 대리점·판매점이 자신들의 수당을 포기하고 실시하는 자체 할인 덕분”이라는 입장이다. 시장 혼탁의 책임이 대리점·판매점에 있다는 주장이다.
 
◆이통사 지원 없이는 할인도 없다

하지만 이통사의 지원이 없는 과다 마케팅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게 일선 대리점, 판매점 측의 설명이다.
 
통신사와 계약을 맺고 영업하는 대리점(직영점 포함) 수는 SK텔레콤과 KT가 각각 2800개, LG유플러스가 1200개 정도다. 판매점은 대리점에서 휴대전화를 받아 판매하는 소매점으로 특정 통신사 제품만을 취급하는 대리점과 달리 3개 통신사의 제품 모두를 판매한다. 업계는 대리점·판매점이 최소 3만여곳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대리점은 일반적으로 휴대전화를 판매할 때마다 제조사·이통사로부터 20만∼30만원의 수당을 받고 가입자가 내는 2년 요금의 6∼10%를 챙긴다. 대리점은 이 중 수당을 판매점에 넘기는 조건으로 재판매에 나서게 된다.
 
판매점은 수당을 챙기는데 평소라면 자기들이 가져갈 수익의 전부인 20만∼30만원을 할인해 주며 ‘공짜폰’을 판매할 수 없다. 하지만 시장 경쟁이 과열되면 대리점과 판매점이 단말기 제조사와 이통사로부터 받는 수당 규모는 50만∼60만원까지 치솟는다. 이통사는 판매 대수가 많은 대리점에는 별도의 ‘장려금’까지 지급한다. 이통사는 ‘공짜폰’과의 연관성을 부인하고 있지만 결과적으로는 이통사의 대대적인 지원 덕분에 판매상들이 싼 값에 전화기를 팔 수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 때문에 이통사가 판매점에 지급하는 수당이나 장려금만 줄여도 가입자들의 요금부담이 훨씬 줄어들 수 있다고 지적한다. 시민단체 등에 따르면 2010년 이통 3사의 영업이익은 5조원, 순이익은 3조원이나 되지만 요금 인하 등 소비자 혜택으로는 이어지지 않고 있다. 통신사 간 과도한 출혈 경쟁으로 마케팅 비용이 폭증했고, 그 부담이 통신비 원가에 고스란히 반영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이동통신사들의 마케팅 경쟁이 막장으로 치닫고 있다. 이통사들은 과도한 마케팅으로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백억원대의 과징금을 부과받았지만 최근 4세대(4G) 롱텀에볼루션(LTE)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또다시 도를 넘은 마케팅에 올인하고 있다. 

공짜 스마트폰은 물론이고 위약금 대납, 제주도 여행권·TV·상품권 제공 등 온갖 미끼를 내세워 시장이 어지러울 정도다. 기기당 마케팅 한도액가 27만원으로 정해져 있지만 유명무실하다. 과열 마케팅 속에 고액 요금제 판매에 열을 올리면서 결국 그 비용이 고객에게 전가돼 통신비 부담 증가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걱정도 쏟아지고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초까지만 해도 고가의 경품은 TV 홈쇼핑에서나 찾아볼 수 있었지만 최근에는 매장에서도 경품을 내걸고 있다. 전화나 문자를 통한 마케팅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통사들은 불특정 고객에게 전화를 걸어 “최신 LTE 스마트폰을 공짜로 주고 약정 위약금도 대납해 주겠다”며 가입을 부추긴다.
 
경쟁이 달아오르면서 통신사를 옮기는 번호이동자 수도 급증해 지난해 10월과 11월 각각 98만명, 113만명에 달했다. 과당 경쟁으로 과징금이 부과된 지난해 9월 번호이동자 수는 87만명 수준이었으나 이후 LTE 서비스 시작과 함께 증가세를 돌아선 것이다. 특히 올해 상반기부터는 ‘아이폰3GS’, ‘갤럭시S’ 등을 사용하는 스마트폰 초기 사용자의 2년 약정 가입 기간이 끝나게 돼 이들을 잡기 위한 이통 3사의 제살깎기 경쟁이 기승을 부릴 것으로 우려된다.
 
이통사의 ‘마케팅 전쟁’ 덕분에 소비자들은 싼값에 휴대전화를 살 수 있게 된 것처럼 보이지만 과도한 마케팅 비용 지출을 매우는 것은 결국 소비자 몫이 될 수밖에 없다.
 
본지가 입수한 한 이통사의 ‘판매 정책표’에 따르면 휴대전화 판매점은 신규 또는 번호이동으로 6만2000원 이상의 요금제를 유치할 경우 15만원의 인센티브(수당)를 추가 지급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통사는 비싼 요금제를 유치해야 지출 비용을 충당하고 더 많은 수익을 낼수 있고, 판매점도 수당을 받으려면 소비자에게 비싼 요금제를 권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LTE 시장이 이처럼 과열되고 있는데도 방통위는 남의 일 보듯 손을 놓고 있다. 방통위 관계자는 “시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나 아직 나설 때는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 Recent posts